여성 청소년들의 경우 국가에서 무료 건강 정책이 지원되는 게 있는데도 잘 몰라서 지나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자궁경부암 무료 예방접종과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에 관한 정보를 전해 드릴게요.
< 목차 >
Ⅰ. 자궁경부암 무료예방접종 신청하세요!
1. 대상
2. 백신 종류
3. 신청 방법
4. 문의
Ⅱ.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1. 바우처 신청 대상
2. 지원 내용
3. 신청 방법
4. 필수 서류
5. 문의
Ⅲ. 청소년 전문심리 상담료 지원
1. 신청방법
2. 지원 내용
3. 문의
Ⅳ. 마약류 익명검사
1. 검사 대상
2. 검사 대상 제외
3. 검사 장소
4. 검사 결과
5. 문의
Ⅴ. 마치며
여성의 경우 자궁 건강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고 예민한 관심사항 중 하나입니다. 내 몸을 지키는 것에 대한 관심은 어릴 때부터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먼저, 자궁경부암이란 무엇일까요?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 부분에 발생하는 것으로, 여성 생식기 암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은 임신과 출산의 기능을 가진 여성에게 매우 위협적인 질환으로 인식되어 사는 동안 산부인과나 건강검진센터를 통해 관련 검사를 받게 되는데요.
한 번 방문할 때마다 자궁경부암 검사비로 적게는 몇 만원에서 많게는 초음파비용으로 확대되어 십 수만 원에 이르기까지 부담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20세 이상 여성이라면 2년에 1회 자궁경부암 국가검진이 실시되고 있는데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그 접근이 쉽지 않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었어요.
내 아이만큼은 자궁경부암에서 해방될 방어막을 마련해 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고민하는 부모님이나 가족이 계신다면 자궁경부암(HPV) 무료예방접종에 주목해 주세요.
Ⅰ. 자궁경부암 무료예방접종 신청하세요!
1. 대상
① 12~17세 여성 청소년 중 자궁경부암 백신 미접종자
(단 2023년 기준, 2005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 출생자에 한합니다)
② 만 18~26세 저소득층 여성 중 미접종자
(1996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 출생자에 한합니다)
2. 백신 종류
HPV2가, HPV4가
3. 신청 방법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kdca.go.kr)에서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이 어딘지 확인한 후 방문하면 됩니다.
4. 문의
서초구 건강관리과 02-2155-8041, 8374, 8063
(타 지역의 경우에도 각 구청 건강관리과로 문의하시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Ⅱ.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형편이 어려운 여성 청소년이 신발 깔창을 이용한다거나 휴지를 이용한다는 등 안타까운 사연이 매체를 통해 소개되면서 주목을 받은 때가 있었습니다.
남성들의 경우 생리용품이 뭐라고 대놓고 저런 사연을 소개할까 싶겠지만 사실 생리용품 비쌉니다. 매월 들어가는 필수용품이라 아낄 수도 없습니다. 또 대체품을 찾기도 쉽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여성청소년은 빠르면 초등학교 시기부터 초경을 시작해 본격적으로 월경에 적응하기 시작하는 몇 년간 생리의 주기를 가늠하는 것도, 그 시기마다 완벽하게 대응하는 것도 여간 까다로운 문제가 아닙니다.
생리통은 물론이며 몸의 기운이 빠지기도 하고, 허리가 뻐근하기도 하며, 피로감과 예민함이 급격히 늘어서 학교생활에 집중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부지기수입니다.
그런데 형편이 여의치 않아서 생리용품마저 마련이 어렵다면 얼마나 심신이 지칠까요. 이제는 저소득층이라면 주저하지 말고 생리용품 바우처를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1. 바우처 신청대상
저소득층 9~25세로 2023년 기준, 출생연도가 1998년에서 2014년생은 해당합니다.
2. 지원 내용
월 1만 3천원 상당으로 1년 기준 최대 15만 6천 원의 바우처가 지원됩니다.
바우처를 신청하면 해당 달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국민행복카드를 반드시 발급해야 합니다.
3. 신청 방법
① 주소지 관할의 동 주민센터(아동청년과)를 방문해서 신청하기
(바우처 기능이 담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하면 우편으로 카드가 도착합니다)
② 복지로를 통한 홈페이지 방문이나 어플을 내려받기 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서울시 내 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탑 등 편의점과 일부 마트 등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각 관할 지자체마다 보편적 복지서비스로 확대해 지원하는 경우가 있으니 각 관할 동사무소나 구청 등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4. 필수 서류
신분증, 대리인 신청의 경우 자격 증명이 가능한 가족관계증명서 등 서류
5. 문의
서초구 아동청년과 02-2155-8879
(이밖에 각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의 아동청년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Ⅲ. 청소년 전문심리 상담료 지원
서초구에서는 관 내 거주하는 만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 80명에 한해 심리 상담료를 지원합니다.
현재 우울감에 시달리거나 고통스러운 기억으로 힘들어하는 등 마음을 나누고 싶은 청소년이라면 지원을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신청방법
서초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사례판정 위원회를 통해 대상자 선정
2. 지원 내용
상담이 필요한 청소년에게 민간전문상담기관 상담료의 50%를 지원
3. 문의
아동청년과 02-2155-8988
서초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02-525-9128
Ⅳ. 마약류 익명검사
마약류 검사를 받아보고 싶지만 이름과 주소 등 기록이 남을까봐 걱정되는 분들 있을 겁니다. 특히 피해가 의심됨에도 선뜻 검사를 받으러 가기를 꺼려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서초구에서는 구민을 상대로 본인 신상을 밝히지 않고 검사 진행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1. 검사 대상
마약류 검사를 원하는 구민 누구나
2. 검사 대상 제외
- 법적조치 희망 피해자
- 직무/자격 관련 검사 희망자
- 기존 마약처벌 및 치료 유경험자
3. 검사 장소
서초구보건소 2층 검사실
4. 검사 결과
방문하여 검사 결과를 직접 듣거나 전화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5. 문의
서초구 의료지원과 02-2155-8336
Ⅴ. 마치며
오늘은 여성 청소년 자궁경부암 무료 예방접종과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하는 방법에 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밖에 청소년 전문심리 상담료 지원과 마약류 익명검사 정보에 관해서도 담아보았는데요. 정보가 유익하셨기를 바랍니다.